top of page
교육.
콘텐츠 주제에 맞는 상황을 기획/연출하여 생동감있고 흥미로운 교육 컨텐츠 제작
한국수어의 의미
청각 장애인은 소리를 통한 언어 습득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눈으로 보고 이해하는 언어, 즉 시각적 언어를 사용합니다.
이 시각적 언어는 바로 **수어**이며, 단순한 의사소통 수단을 넘어 문화와 정체성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수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단순히 '청각이 불편한 사람'이 아니라, 수어를 중심으로 살아가는 하나의 언어 공동체입니다.
그들에게 수어는 자신을 표현하고, 세상과 연결되며, 공동체 안에서 소속감을 느끼게 해주는 언어입니다.
우리는 이들의 언어와 문화를 존중하며, 시각적 언어의 아름다움과 깊이를 담은 콘텐츠를 통해 모두가 연결되는 세상을 만들어갑니다.
수어교육
장애인차별금지법 및 장애인 편의시설 증진법에 발맞춰 농인들과 비장애인들을 위해 수어교육 및 에티켓을 안내하고 한국수어의 저변확대를 통해 농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있다.
01
기초반
농문화와 수어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을 위한 기초수어교육
02
기초반(심화)
기초수어와 관용수어의 차이를 통해 배우는 기초수어 심화과정
03
어휘반
관용수어 및 회화교육
04
중급반
농인사회의 문화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실제적으로 한국수어의 문법적 형태를 수용하고 표현하는 과정
05
중급반 2
한국수어, 수어문법을 표현능력을 키우는 과정
06
고급반
다양한 농인들의 수어영상과 대화를 통해 이해, 표현능력을 키우는 과정
bottom of page